목록Agile/Agile 워크샵 (2208~2209) (8)
one step

새로 입사한 조직에 적응도 하며 Agile 워크샵에도 출석을 하느라 정신없는 두 달을 보냈다. 결론은 내가 Scrum에 대해 오해하고 있던 부분들이 있었고, 그것들이 Agile 워크샵을 통해 일정부분 해소가 되었다는 것이다. 초기에는 몸만 왔다갔다 했는데, 어느순간 이걸 기록으로 남겨두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후부터는 iPad에 필기를 하기 시작했다. 적은걸 보며 이 블로그에 회고를 적었고, 진행해주신 코치님들이 워크샵이 어렇게 마무리가 됐다는 걸 기록으로 남겨두면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이 있어 워크샵 참석 인원들을 대표해 내가 회고를 적어 공유를 하게 됐다. 아마 출석률이 가장 높았던 게 나뿐이라 그랬던 것 같다. (8회 중 7회 참석..!) 사내에 공유한 회고 글의 일부를 여기에 옮겨 적어보면 다음..
드디어 마지막 시간, 이 날은 MOJI 리더십에 대해 얘기했다. 시작 전 별도의 추가 설명 없이 SpaceTeam 이라는 게임을 해봤는데, 이 게임을 진행하며 나눈 제안들을 가지고 워크샵을 진행했다. 게임을 하며 어떻게 해보자, 이 방법이 좋을 것 같다 등 본인의 의견을 피력했던 것 들을 종이에 써보고, 이것들을 MOJI리더십 중 어떤 항목에 매핑이 될지를 고민했다. MOJI 리더십: 리더십 및 팀에 해결책을 부여하는 종류 Motivation Organize Idea Jiggle 행동은 환경을 바꾸기 위해 시도한 것 → 관찰은 그 행동을 이끌어낸 상황 관찰 / 행동 Motivation Organize Idea Jiggle Motivation [사기가 낮은 상태 /과잉 흥분 상태] 모두가 슬퍼했기 때문에,..

일시: 2022.09.20 내용: User Story Mapping과 PO의 역할 제품의 중장기 계획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배운다. User Story? As a type of I want so that User Story Mapping? Activity Theory Activity: Value, 우리 서비스에 들어온 고객이 기대하는 활동, "청결활동" ↑ Action: What, Activity를 이룰 수 있는 어떤 행위. "세수" ↑ Operation: How, Action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인프라. "화장실 문, 급수, 배수, 샴푸, 비누, ..." Release slice: 출시 버전. 우선순위를 선정해 최소한의 단위로 제품 출시할 수 있도록 back log를 나눈다. Ver1 출시 → 사용..

일시: 2022.09.13 내용: 스크럼 전통적 관리자의 역할을 카드 한 장 당 하나씩 적어 15가지 정도 준비한다. PO/Screm Master/Team으로 나누어 1번에서 적은 카드의 업무를 분배한다. 이 때 각 포지션이 그 일을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거를 찾는다. 보통 PO가 3~4가지, Team이 대부분, Scrum master는 거의 없는 것이 맞다. 그러나 우리는.... "What"은 PO, "How"는 "Team" Scrum에서 역할이 3개인 것은, 역할 간 구분이 크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포지션 PO Scrum Master Team 역할 소개 - 제품 기능 정의, 출시일과 출시 내용 결정 - 제품 수익(ROI)을 책임짐 - 시장 가치에 따라 기능 구현의 우선 순위를 매김 - 매 스프린..
일시: 2022.08.30 내용: 회고는 어떻게 하는 것인가 회고의 3F: 무엇을 해봤다. 그래서 어떤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거기에서 무엇을 발견했다. Fact Feeling Finding(Future Action) 또는 회고의 5F Fact Feeling Finding Future Action Feedback Future Finding의 요소 SMART: 이성적, 예리함 Specific: 구체적 Measurable: 정량적 측정 가능 Attainable: 달성 가능한 목표 Relevant/Realistic: 적절하고 현실적 Time-Framed: 구체적 기한 EX.ACT: 감정적, 인간적 EXciting: 긍정적이고 영감을 주는 Assessable: 평가할 수 있는 Challenging: 도전적인 목..

일정: 2022.08.23 내용: 유저 스토리 작성법 체크인에 대해 ice breaking의 한 가지 방법인 듯, 구성원 수 만큼 포스트잇 1장과 펜 1자루를 준비한다. 포스트잇 가운데에 동그라미를 그리고, 동그라미를 중심으로 선을 그어 포스트잇 공간을 상하로 분리한다. 동그라미 안에 10점 만점 기준으로 오늘 나의 기분을 적는다. 동그라미 기준으로 종이 상단에 내 기분 점수가 좋아지게 한 요소를 적는다. 동그라미 기준으로 종이 하단에 내 기분 점수가 왜 만점이 아닌지에 대해 적는다. 구성원 별로 게시판에 붙이고 짤막하게 이야기를 나눈다. 또는 체크인 질문 랜덤 노출 사이트를 보고 얘기 소재를 찾아본다. 체크인 질문 랜덤 노출 사이트: https://checkin.daresay.io/ 유저 스토리 작성에..

일시: 2022.08.16 내용: 애자일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순서대로 배치해보기 Agile을 구성하는 사람들의 역할, 업무 단위가 적힌 종이를 단위별로 가위로 자른다. 순서에 맞게 자른 종이를 배치한다. 왜 그렇게 배치했는지 설명해본다. 빌딩의 높이를 추정해보기 목표: 절대적/상대적 기준을 익힌다. 건물 야경이 있는 사진을 보여주고, 이 중 어떤 건물의 높이를 구해보도록 한다. 처음에는 사전 정보 없이 사진만 보고 추정하도록 하고, 두번째는 그 옆 건물의 대략적인 높이를 알려준다. 2-1번보다 2-2번의 경우에 정확도가 높아진다. 플래닝 포커 (참고링크) 피보나치 수열로 점수가 매겨진 포커를 한 벌씩 나눠갖는다. 프로젝트의 SOW가 적힌 문서를 보고 요구사항을 하나씩 카드에 옮겨 적는다. 옮겨 적은 카드..
일시: 2022.08.02 내용: 주사위와 펜 게임 테이블마다 주사위 2개와 펜 1개, 참가자 수 만큼의 종이 준비 참가자가 순서대로 돌아가며 주사위를 한 번씩 굴린다. 어떤 참가자의 주사위 합이 3, 6, 9 중 하나가 나오면 가운데에 있는 펜을 집어 가진 종이에 1부터 숫자를 적기 시작한다. 숫자는 또 다른 참가자의 주사위가 3, 6, 9 중 하나가 나올 때 까지 계속 적어 내려가며, 중간에 3, 6, 9 중 하나의 숫자가 나온 참가자는 현재 종이에 숫자를 적고 있는 참가자의 펜을 빼앗아 자기 종이에 1부터 숫자를 적어 내려간다. 가장 먼저 100까지 숫자를 다 적은 참가자가 우승한다. 제 시간과 지식을 팝니다 게임 참가자 수 만큼 펜과 포스트잇을 준비 참가자는 포스트잇에 다음 두 가지 종류의 아이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