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ile/Agile 워크샵 (2208~2209)
Agile 워크샵 회고_8번째 모임 (MOJI(MOI) 리더십)
원-스텝
2022. 10. 8. 17:01
반응형
드디어 마지막 시간, 이 날은 MOJI 리더십에 대해 얘기했다.
시작 전 별도의 추가 설명 없이 SpaceTeam 이라는 게임을 해봤는데, 이 게임을 진행하며 나눈 제안들을 가지고 워크샵을 진행했다.
게임을 하며 어떻게 해보자, 이 방법이 좋을 것 같다 등 본인의 의견을 피력했던 것 들을 종이에 써보고, 이것들을 MOJI리더십 중 어떤 항목에 매핑이 될지를 고민했다.
- MOJI 리더십: 리더십 및 팀에 해결책을 부여하는 종류
- Motivation
- Organize
- Idea
- Jiggle
행동은 환경을 바꾸기 위해 시도한 것 → 관찰은 그 행동을 이끌어낸 상황
관찰 / 행동 | Motivation | Organize | Idea | Jiggle |
Motivation [사기가 낮은 상태 /과잉 흥분 상태] |
모두가 슬퍼했기 때문에, 기운을 북돋아주려고 쿠키를 나누어 주었다. | 나는 기운이 없는 모습을 보았고, 그래서 사람들에게 점수를 세 배로 올릴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었다. | ||
Organize [혼잡하고 어수선한 상태 /조직이 경직된 상태] |
아무도 시간을 지키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잭이 시간을 지킬 수 있도록 격려했다. | 아무도 시간을 지키지 않고 있는 것을 보고, 내가 시간을 확인하는 역할을 맡았다. | 아무도 시간을 지키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시간 제한을 정하는 방법을 알려주었다. | 아무도 시간을 지키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나는 “이 일을 내일 마칩시다.”라고 말했다. |
Idea [아이디어 부족 상태 / 아이디어 과잉 상태] |
우리에게는 더 많은 아이디어가 필요했기 때문에, 브레인스토밍 시간을 마련했다. | 아무도 일이 어떻게 되어가는지 모르는 것처럼 보였고, 그래서 모두에게 규칙을 큰 소리로 읽어주었다. | ||
Jiggle [막다른 길에 다다른 상태 / 열기가 과도한 상태] |
우리는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었고, 그래서 시간 제한을 정하자고 제안했다. | 계속해서 카드 탑의 층을 높여 갔기 때문에, 나는 탑을 쳐서 무너뜨려 버렸다. | ||
관찰한 것 없음 | 나는 언제나 치어리더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사람들의 기운을 북돋아주었다. | 시간 제한이 효과가 있다고 믿기 때문에, 나는 시간 제한을 정했다. | 나는 그냥 모든 사람들에게 이야기해야만 하는 좋은 아이디어가 있었다. | 점심 시간 때 그 농담을 들었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그 농담을 했다. |
출처: 아래 참고자료 링크 확인
- 보통 어떤 문제가 발생할 떄는 밸런스의 문제일 경우가 대부분
- 너무 많은 조직화
- 너무 많은 정보
- 망치의 법칙: 도구가 망치뿐
- 정보의 문제를 정보만으로 해결하려 함
- 환경을 분절적으로 생각하고 분절적으로 행동하자. 사는대로 생각하지 말자.(...)
이후 워크샵 마지막 시간이라 질문을 받았는데, 인상깊은 질문과 답변이 있어 적어본다.
나는 주로 듣는 타입인데, (의견 개진을 적극적으로 해야하는)PM을 해도 괜찮을까?
답변: 성향에 따른 역할이 있는게 아니라, 다양한 성향을 가진 역할이 있는 것.
문제 해결의 스타일이 다른 것이라 생각해야 한다. 자신의 스타일을 다양하게 갖는 것을 시도해보자.
Scrum 조직의 다양한 역할들을 보며 나도 내 성향은 이러니까 난 절대 PM은 못하겠지, 스크럼 마스터는 힘들겠지, 이런 생각을 막연히 했던 것 같다.
어떤 역할에 어울리는 성격.. 이란게 있을 것도 같지만 그보다는 그 다양한 성향에서 나오는 장점들을 가지고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어떨지 고민해보게 된 질문과 답변이었다.
이외에 마지막 당부의 말 들을 적어보자면..
- 방법론에 끼워맞추려 하지 말고 그 문제가 왜 생겼는지를 고민해보자.
- 늘어나는 팀원간 유대감을 업무에 활용하는 방법을 생각해보자. 전체 업무 중 20%는 함께 해보자 등
- '학습전이'를 활용해 Agile 관련 지식을 사용해보자.
참고자료 및 출처: https://wiki.wooridle.net/MOIJ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