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ile 워크샵 회고_7번째 모임 (User Story Mapping과 PO의 역할)
- 일시: 2022.09.20
- 내용: User Story Mapping과 PO의 역할
- 제품의 중장기 계획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배운다.
- User Story?
- As a type of <user>
- I want <some goal>
- so that <some reason>
- User Story Mapping?
- Activity Theory
- Activity: Value, 우리 서비스에 들어온 고객이 기대하는 활동, "청결활동"
↑ - Action: What, Activity를 이룰 수 있는 어떤 행위. "세수"
↑ - Operation: How, Action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인프라. "화장실 문, 급수, 배수, 샴푸, 비누, ..."
- Activity: Value, 우리 서비스에 들어온 고객이 기대하는 활동, "청결활동"
- Activity Theory
- Release slice: 출시 버전. 우선순위를 선정해 최소한의 단위로 제품 출시할 수 있도록 back log를 나눈다.
- Ver1 출시 → 사용자 인터뷰 → back log 우선순위 수정 → Ver2 출시 → 사용자 인터뷰 → ...(반복)
- PO가 결정하는데.. 여기서 드는 의문은 PO는 전지전능한가? 우선순위 선정이 완벽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 물론 앞서 진행한 back log를 다시 개발할 수도 있다.
- MVP(Minimum Viable Product): 최소한의 F/B 받을 수 있는 버전. 개발 시 사용하는 단위
- MMF(Minimum Marketable Feature): 출시 시 사용하는 단위
Most professionals confuse MVP with MMF as they may sound similar and have similar definitions. However, one has to understand that MVP is about learning about the product which is going to be developed. In a Minimum Viable Product, there could be several MMFs, or a single MMF or no MMFs. MMF is the least effort feature which is small and self-sustained and could be sold in the market. Both MVP and MMF are not the same concepts, but both of them imply that a minimum functionality should be accomplished to gain a specific outcome. You also have to know that many Agile communities interchange the terms of MMP, MMF, and MRF.
대부분의 프로들은 MVP와 MMF를 혼동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비슷하게 들리고 비슷한 정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MVP는 앞으로 개발될 제품에 대해 배우는 것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최소 실행 가능 제품에는 여러 개의 MMF 또는 단일 MMF가 있을 수 있으며, MMF는 작고 자급자족하며 시장에서 판매될 수 있는 최소 노력 기능이다. MVP와 MMF 모두 동일한 개념은 아니지만, 둘 다 특정한 결과를 얻기 위해 최소한의 기능을 달성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많은 Agile 커뮤니티가 MMP, MMF 및 MRF의 용어를 교환한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 Sprint가 몇 번 필요한지는 어떻게 알 수 있나?
- 우리 속도(Velocity) 측정 (Project burndown) 해서 확인
- X축(가로축)에 시간을 적고
- Y축(세로축)에 작업량을 적고
- 플래닝 포커 등으로 산출한 작업량 기반 매일 해결한 양 만큼을 그래프로 그려나간다.
- 출시일이 정해져있는 경우에는 정해진 작업량 기반으로 backlog를 PO가 정리한다.
- 문제점:
- Evidance based: 정확한 추정/산출 위해서는 경험이 쌓여야 한다.
- 실제와 추정이 다른 경우 due date을 늘이거나, 기간 내 가능한 요건만 반영한다.
- PO의 역할: Ask the right question
- 잘못된 질문의 예: 꽃병을 그려라/꽃을 집에 두는 방법?
- 좋은 질문의 예: 꽃 소비를 촉진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PO는: 릴리즈를 결정하고, 더 나아가 제품을 접을 의사결정을 할 수도 있는 사람
(PO 인성에 문제가 있으면 프로젝트가 망하는거 아닌가 싶은데..
Agile은 기본적으로 성선설에 기반을 두고 접근해야 하는 개발 방식인 것 같다.)
참고자료
1) https://plan.io/blog/user-story-mapping/
A Guide to User Story Mapping: Templates and Examples (How to Map User Stories) | Planio
Backlogs are exciting. Seeing all those potential features, updates, and bug fixes all in one place, just full of potential… Yeah, sure. Right about now you probably think I’m full of something other than potential. The truth is that backlogs can be co
plan.io
2) https://premieragile.com/mmp-vs-mvp-vs-mmf/
MVP Vs. MMP Vs. MMF
In recent times, Agile industries have been blooming as it provides solutions to various problems faced by companies with traditional software methodologies. With the advent of Agile Methodology, many terms have confused individuals such as Minimum Viable
premieragile.com
3) https://asana.com/ko/resources/burndown-chart
번다운 차트: 번다운 차트 소개 및 사용 방법(예시 포함) • Asana
번다운 차트는 업무를 완료하는 데 필요한 시간 대비 남은 업무를 그래프 형식으로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차트입니다. 번다운 차트를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asana.com